[2020-06-04] 이산수학 + 국가근로인턴 2차 서류평가
✅ 제목
🔥 금주의 목표
- 정보처리기사 정리집 3회 정독
- 정보처리기사 문제 풀어보기
- 캡스톤 프로젝트 준비하기
📘 공부내용
[ 이산수학 - 유한 상태 기계 ]
기계란 무엇인가?
- 입력에 따른 출력을 제공하는 것이다.
- 이때 출력은 상태에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 상태에 의존적이다.
유한 상태 기계
- 밀리기계
- 무어기계
밀리기계
- 수학적 표현은 ℳ= (𝑆,𝐼,𝑂,𝛿,𝛾,𝑠0)
- 𝑆는 상태 집합 (또는 상태 공간)
- 𝐼는 입력 기호 집합 (또는 입력 알파벳)
- 𝑂는 출력 기호 집합 (또는 출력 알파벳)
- 𝛿∶𝑆×𝐼→𝑆는 상태 전이 함수 (또는 다음 상태 함수)
- 𝛾∶𝑆×𝐼→𝑂는 출력 함수
- 𝑠0∈𝑆는 시작 상태
- 특징
- 상태에서 상태로 전이할 때 출력
무어기계
- 수학적 표현은 ℳ=𝑆,𝐼,𝑂,𝑓,𝑔,𝑠0
- 𝑆는 상태 집합 또는 상태 공간
- 𝐼는 입력 기호 집합 또는 입력 알파벳
- 𝑂는 출력 기호 집합 또는 출력 알파벳
- 𝑓:𝑆×𝐼→𝑆는 상태 전이 함수 또는 다음 상태 함수
- 𝑔:𝑆→𝑂는 출력 함수
- 𝑠0∈𝑆는 시작 상태
- 특징
- 상태에서 출력
- 밀리 기계 vs 무어 기계
- 출력이 전이에서 일어나느냐 , 상태에서 일어나느냐의 차이
튜링기계
유한 상태 오토마타로 가능한 일
- 정규 언어 인식
- 두 수의 덧셈 유한 상태
오토마타로 불가능한 일
- 문맥 자유 언어 인식
- 두 수의 곱셈
튜링 기계는 유한 상태 오토마타보다 더 강력한 장치
- 기억 능력이 있음
- 컴퓨터가 할 수 있는 일은 튜링 기계로 모두 할 수 있음
FSM vs. TM 차이점
튜링 기계 | 유한 상태 기계 |
유한 상태 기계 | 입력 스트링 상의 심볼을 갱신할 수 없고 오직 읽을 수만 있다. |
left, right로 이동할 수 있다. | right로만 이동 할 수 있다. |
partial transition function (상태와 심볼간의 모든 가능한 조합에 대해 응답할 필요가 없음) |
total transition function |
🐵 오늘의 정리
날씨가 흐리고 저녁부터 부슬부슬 비가오기 시작하네요. 몇일전부터 덥기 시작하더니 본격적으로 여름이 시작하려나 봅니다 ㅎㅎ
오늘은 날씨도 안좋아서 집에서 공부를 했습니다. 자격증 뿐만 아니라 아직 대학교를 다니고 있기때문에 학생의 본분은 다하기 위해서 과제 공부를 진행했습니다. 매주 수요일이면 교수님께서 과제를 올려주시기도 하고, 이번주 토요일에 있을 시험과 기타 할일들이 많아서 미리 과제를 해두는 편이 좋겠다 판단이들어 조금 일찍(?) 과제를 진행했습니다.
현재 학년에 맞지는 않지만 2학년에 듣지 못했던 이산수학 과목을 듣고있는데요. 그래서 오늘 공부한 내용은 "유한상태 기계"에 대한 개념과 앨런튜링이 1936년에 만든 "튜링머신"에 대하여 공부및 과제를 진행했습니다.
오늘의 특별한 점이라면, 열심히 과제를 진행하던 와중에 이번에 지원한 국가근로인턴 대상 업체에서 면접을 보러오라는 메일을 수신했다는것입니다. 일반적으로 저희 대학교에서는 1차 서류전형은 학교에서 그 불합여부를 가리고 있습니다. 그리고 추가적으로 필요한 기업에 한하여 2차적으로 서류평가를 거치고 그에대한 결과를 메일 혹은 전화나 메시지로 통지해주고 있습니다. 제가 지원했던 기업에서도 2차 서류평가를 진행하였고, 다행히도 저의 서류를 좋게 봐주셔서 면접을 볼 수 있는 기회가 생겼습니다. 일단, 이번주 토요일까지는 기사필기시험에 집중하기로 하고! 토요일부터 열심히 면접준비를 해봐야 겠습니다!
'Gorilla-Kim >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0-06-12] (후기글) 하계 채용 연계 국가근로 인턴쉽 (1) | 2020.06.12 |
---|---|
[2020-06-08] (후기글) 정보처리기사 후기 및 웹 기초공부 시작 (0) | 2020.06.08 |
[2020-06-03] 정보처리기사 공부 2회차 정독 완료 (0) | 2020.06.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