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mgorillaLAB - 회전하는 Component
Merry Christmas!
snow-ball
santa
gift
snow2
snow2
snow2

'CSS > 응용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 transition ] 각각의 elements에 효과 넣어주기.  (0) 2018.12.22
Posted by Kim_gorilla

[ transition ]


오늘의 포스팅 내용은 transition 입니다. 

Q. ) transition이 무엇인가요? What?

A. ) transition이란 특정한 element(요소)의 속성에 변화나 움직임등을 넣고 싶을 때,
      해당 속성의 변화 속도를 지정해주거나, 부드럽게 보여주게 하는 기능입니다.


Q. ) 어떻게 사용하나요? How?

A. ) 우선은 transition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CSS에서 다음과 같은 기본셋팅이 필요합니다.

    • 해당 element의 display 속성값이 [ block ] 혹은 [ inline-block ] 값이어야 한다.
a {
   display : inline-block;
}

기본 셋팅이 완료되었다면, transition 속성을 사용해봅니다.

transition은 기본적으로 다음과 같은 네가지의 기능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 transition-property : (값)
변화를 원하는 속성을 선택하기 위해 사용.
* all : 모든속성에 대해 적용
*특정속성 : 특정한 속성에 대해서만 적용

2. transition-duration : (값)
속성의 변화과정을 속도 지연을 위해 사용.
* 1s : 변화가 1초동안 나타남
* 0.1s: 변화가 0.1초동안 나타남

3. transition-delay : (값)
속성의 변화시작을 지연시킬때 사용.
* 1s : 변화가 1초후에 나타남
* 0.1s: 변화가 0.1초후에 나타남


4. transition-timing-function : (값)

변화하는 속도의 패턴을 지정해주기 위해 사용.

다음은 기본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값.

* ease : 천천히 시작해서 도중에 빨라졌다가 느려지면서 종료

* ease-in : 천천히 시작해서 점점 가속

* ease-out : 천천히 시작해서 느려지면서 종료

* ease-in-out : ease와 동일

* linear : 일정한 속도로 변화


위의 네가지 기능들을 참고하여 

다음과 같은 구문을 작성해 실행해 봅시다.


a {
   display : inline-block;
   /*모든 속성에 대하여 변화시킴*/
   transition-property: all;
   /*변화과정의 속도를 1초로 지연시킴*/
   transition-duration: 1s;
   /*위에 두줄은 [ transition : all 1s; ] 와 같은 의미 */
}
a:active {
   /*위치를 가로축, 세로축을 변화시킴*/
   transform : translate(20px, 30ox);
   /*글자 크기를 변화시킴*/
   font-size : 2rem;
}


'CSS > 응용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 CSS3 - animation ]입체카드를 만들어 보아요.  (0) 2018.12.25
Posted by Kim_gorilla